지난 2~3일
지난 2~3일 한-EU 에코디자인 협력 포럼이 마곡 코엑스에서 진행됐다. (왼쪽부터) 이상필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환경과 사무관, 이상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환경과 과장, 이상목 한국생산기술연구원장, 마리아 카스티요 페르난데즈 주한 유럽연합 대사, 피에르 앙리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환경총국 지속가능제품 담당 부국장, 조영준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원장 산업통상자원부와 주한 유럽연합(EU) 대표부가 공동 주최한 ‘한-EU 에코디자인 포럼(EU-Korea Eco-Design Cooperation Forum)’이 지난 2일부터 3일까지 서울 마곡 코엑스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2025 순환경제 페스티벌’의 주요 프로그램으로, 한-EU 그린 파트너십 프로그램과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이 공동 주관했다. 이번 포럼에는 마리아 카스티요 페르난데즈 주한 유럽연합 대사, 피에르 앙리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환경총국 지속가능제품 담당 부국장, 이상목 한국생산기술원장 등 정부기관, 산업계, 학계, 시민사회 등 600여 명이 참석해,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 및 디지털 혁신을 주제로 에코디자인과 디지털 제품 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 DPP)에 대한 정책 및 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한-EU 양측은 정책 사례와 산업 기술을 공유하고, 순환경제 전환을 위한 산업 협력 기회를 모색했다.특히 이번 포럼에서는 2024년 7월 채택된 EU의 에코디자인 규정(Ecodesign for Sustainable Products Regulation, ESPR)이 집중 조명됐다. 해당 규정은 제품의 순환성, 에너지 효율, 재활용성, 내구성을 강화해 EU 시장에 유통되는 제품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마리아 카스티요 페르난데즈 주한 유럽연합 대사 마리아 카스티요 페르난데즈 주한 유럽연합 대사는 “에코디자인 규정은 유럽 그린딜(European Green Deal)의 핵심 전략으로, 전 세계 생산 및 공급망이 연결된 현시점에서 지속가능 전환의 성공은 강화된 국제협력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며 “대한민국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은 이러한 전환의 중요한 기반”이라고 강조했다. EU 에코디자인 규정의 핵심 요소인 디지털 제품 여권(DPP)은 전자제품, 섬유, 배터리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정목희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설정한 상호관세 무역협상 시한까지 한미간 합의가 어려울 수 있다고 언급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FT는 이 대통령이 이날 서울 청와대 영빈관에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오는 9일 종료되는 미국 상호관세 유예연장 협상과 관련해 “매우 어렵다”며 “한·미가 최선을 다하고 있고 또 쌍방 모두에 도움되는 그야말로 호혜적인 결과를 만들어내야 하는데 아직까지도 쌍방이 정확하게 뭘 원하는지 명확하게 정리되지는 못한 상태”라고 밝혔다고 보도했다.또 FT는 오는 9일로 예정된 관세 부과 유예 종료 전까지 양국이 합의에 이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에는 선을 그었다고 전했다.이번 협상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한국산 수입품에 25%의 ‘상호주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하면서 촉발됐다. 한국 정부는 관세 부과를 피하기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주 일본에 대해서도 관세를 30~35%까지 올릴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 한국 정부 내에서는 9일 시한 연장을 기대하던 분위기가 급격히 위축됐다고 FT는 전했다.이어 FT는 “협상이 지연된 배경에는 지난 연말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이후 조기 대선 등 정치적 혼란이 있었다”며 “이 대통령은 지난달 대선에서 당선돼 집권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FT는 소식통을 인용해 “한국은 대미 무역 흑자 550억달러를 줄이기 위해 ▷미국산 천연가스 및 방산 장비 구매 확대 ▷미국 무역대표부 제이미슨 그리어가 공개적으로 비판한 비관세 장벽 해소 등을 제안했다고 전했다.또한 양국은 한국의 ▷미국 조선소 투자 유치를 통한 미국 해군 포함 조선 산업 부활 지원 ▷트럼프 행정부가 알래스카에서 추진 중인 신규 천연가스 사업에 대한 한국 측 구매 약속 가능성 등도 협의 중이다.그러나 협상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미국 조선업에 대한 외국인 참여를 제한하는 보호무역 성향의 미국 법률이 협상을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에너지 업계 전문가들이 사업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 역시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에 대해
지난 2~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