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크로
페이지 정보
작성자 smoot 작성일25-04-01 17:25 조회3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매크로
부산 기장군 장안읍에 위치한 고리원자력발전소 3·4호기 전경. 연합뉴스 원전 이용률이 높아진 영향으로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지난해 영업이익이 2배 이상 뛰는 호실적을 기록했다.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를 주로 운영하는 발전5사는 발전량 감소로 지난해 매출이 10%가량 줄었지만, 수입원료 원가 하락으로 되레 영업익이 상승했다.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보면, 한수원은 지난해 연결기준 13조6020억원 매출과 1조6017억원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2023년 매출 10조9782억원, 영업이익 7927억원과 비교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3.9%, 102% 증가한 것이다.한수원은 지난해 경북 울진 신한울 2호기 등 신규원전 가동에 따른 전력 판매량이 증가했고, 전기요금 인상 등으로 인한 전력판매단가 상승이 호실적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현 정부가 펼친 ‘원전 진흥책’은 중장기적으로 한수원 실적을 개선한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문재인 정권의 ‘감원전’(원전을 줄여나감) 정책 영향으로 2018년 65.9%까지 떨어졌던 원전 이용률은 윤석열 정권 출범 첫해인 2022년 81.6%까지 증가했다. 노후원전 수명연장 등 영향으로 지난해 원전 이용률은 83.8%로 높아졌다. 원전을 24시간 가동하는 기저발전원으로 활용하면서 원전 이용률과 전력 판매량이 늘어난 것이다. 한국동서발전이 운영하는 충남 당진화력발전소 전경. 동서발전 제공 반면, 석탄·액화천연가스 발전소를 운영하는 발전5사는 전력 판매량 감소로 매출 하락을 기록했다. 남동발전·남부발전·동서발전·서부발전·중부발전 등 5개 발전자회사의 지난해 매출 총액은 32조4366억원으로 2023년 36조283억원에 비해 9.97% 줄었다.기저발전원인 원전의 출력 제어를 최소화한 상황에서 전력 수요가 적을 때엔 화력발전소의 가동을 중단하는 운영 정책으로 발전량이 줄어든 결과다. 실제로 2023년 19만5163GWh였던 발전5사의 전력판매량은 2024년에 18만6441GWh로 감소했다.다만 수입에 의존하는 유연탄 등 발전 원료 가격이 낮아진 영향으로 발전5사의 영업이익은 증가했다. 발전5사의 2024년 영업익은 2조8979억원으로 전년보다 172.3% 상승했다. 발전5사 관계자는 “연료 조달선 다변화와 유연탄 등의 가격 변동성을 활용한 구매 전략 등으 대형마트에 진열된 미국산 소고기. 사진=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올해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미국산 소고기 수입 시 '30개월 미만' 월령 제한 조치를 지적했다. 미국이 해당 규정을 빌미로 관세 협상에 활용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정부도 대응책 마련에 고심 중이다. 미국이 한국에 개월령 해제 조치를 요구할 경우 국내 축산 농가의 거센 반발도 예상된다.1일 농림축산식품부 등에 따르면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2025년도 국가별 무역 평가보고서(NTE)를 통해 한국의 미국산 소고기 수입 시 '30개월 미만' 월령 제한, 육포·소시지 수입 금지, 유전자 변형 제품 관련 정책 등을 지적했다.보고서에는 "2008년 한미는 한국 시장을 미국산 소고기와 소고기 제품에 완전히 개방하기로 합의했지만 과도기적 조치로 한국은 30개월 미만 소에서 생산된 제품만 수입하도록 요구했다"며 "이 과도기적 조치는 16년 동안 유지돼 왔다"는 내용이 담겼다.이 보고서는 미국의 25% 상호관세 부과 발표(미 현지시간 2일)를 하루 앞두고 나왔다는 점에서 정부로서는 고심이 커졌다. 미국이 관세 협상 과정에서 소고기 수입 시 개월령 제한 조치를 꺼내 한국을 압박할 가능성이 높아져서다.실제, 미국산 소고기 월령 제한을 두고 수년째 미국 축산업계의 협상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은 광우병 발생 우려에 따라 지난 2008년부터 미국산 소고기는 30개월령 미만 물량만 수입하고 있다.실제 개월령 제한 조치가 해제될 경우 국내 축산 농가들은 거세게 반발할 것으로 보인다. 축산 농가들은 월령 제한이 폐지되면 국내 시장에서 광우병에 대한 불안이 커져, 소고기 시장이 위축되고 한우 소비 감소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해 왔다.앞서 전국한우협회는 성명을 통해 "미국산 소고기 관세철폐에 이어 비장벽관세인 개월령까지 철폐가 요구된다면 더 이상 한우 농가가 설 자리는 없을 것"이라며 "국회와 정부는 미국 정부가 소고기 30개월령 이상 수입 허용을 요구하더라도 농민의 생존권과 국민의 건강권을 생각해 결코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농식품부는 이번 보고서에 담긴 한국의 농산물 분야 무역장벽이 작년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또, 수입산 소고기 개월령 해제 조치 등의 협상 요청
매크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