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N '백억짜리 아침식사' EBS '이
tvN '백억짜리 아침식사' EBS '이웃집 백만장자', 재테크 아닌 삶의 태도 전달하며 눈길[미디어오늘 정민경 기자] ▲tvN '백억짜리 아침식사' 런던베이글뮤지엄 료 대표 편. 출처=tvN 유튜브. 9일 EBS에서 첫 방송한 '이웃집 백만장자'는 성공한 부자들의 인생관과 삶의 태도를 조명하는 교양 예능이다. MC 서장훈과 제작진은 이 프로그램이 방송되기 전부터 “돈 이야기가 아닌 인생 수업”이라는 문구로 프로그램을 알리고, “단순히 돈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가 아니라 부자들과의 만남을 통해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 '진짜 풍요로운 삶이란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던진다”고 기획의도를 설명했다.지난 2일 EBS '이웃집 백만장자'의 김민지 PD는 “'진짜 부자'란 어떤 사람일까라는 질문에서 출발했다”며 “돈과 소유, 스펙이 강조되는 시대 속에서 어쩌면 진정한 부와 성공은 숫자가 아닌 삶의 태도와 철학에서 오는 것이 아닐까 생각했다”고 강조했다. 9일 첫방송에서는 1세대 남성 헤어디자이너 이상일이 출연해 전국 시청률 EBS 1.6%, E채널 0.4%(닐슨코리아, 유료가구 기준)를 기록했다. 분당 최고 시청률은 2.1%(닐슨코리아, 유료가구 기준)로 좋은 출발을 알렸다. ▲EBS, E채널 '서장훈의 이웃집 백만장자' 1화. 사진출처=EBS. 이러한 '부자 예능'은 올해 2월 방영된 tvN의 '백억짜리 아침식사'와 결이 비슷하다. '백억짜리 아침식사'는 부자들의 아침 루틴과 식사를 보여주며 그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삶의 태도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을 전달한다. 부를 전시하기보다는, 부자들의 철학을 배우려고 하고 실제로 어떤 루틴으로 살고 있는지를 들여다보려는 시도다. '백억짜리 아침식사'에는 런던베이글뮤지엄의 대표 '료', 허니버터아몬드를 만든 윤문현 대표, 휴롬 김영기 회장, 이삭 토스트 김하경 대표 등이 출연했고 시청률은 0.3~0.7% 사이를 기록하고 있다. 시청률은 높지 않지만 런던베이글뮤지엄 대표 편은 유튜브에서 55만 조회수를 기록하기도 했다.EBS '이웃집 백만장자'나 tvN의 '백억짜리 아침식사' 같은 '교훈형 부자 예능'은 KBS의 '성공시대'( 일본 중부 오키야마현 마니와시의 울창한 숲에서 벌목 작업자가 나무 상태를 살피고 있다. 마니와시는 최근 폐목재를 활용한 바이오매스 발전으로 산림 순환 경제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마니와시 제공 《日 인구소멸지역 되살린 숲오카야마현 마니와시는 산림 면적이 80%에 달하는 일본의 대표적 산촌이다. 목재 생산으로 지역 경제를 이끌어 왔지만, 주택 경기 침체로 목재 수요가 줄며 젊은층이 떠나고 인구도 급감해 인구소멸 지역으로 전락했다. 반전의 계기를 만든 것은 다시 ‘숲’이었다. 버려지던 폐목재를 원료로 바이오매스 발전소를 세워 전기를 생산하고 그 전기로 다시 목재를 가공하며 친환경 순환 경제를 이뤄냈다. 지속가능한 산촌 모델로 주목받자 도시 청년들까지 하나둘 정착했다. 숲을 잘 활용해 지역 경제를 살리고 결과적으로 숲도 사는 ‘그린시프트’를 이뤄낸 것이다.》“친환경 산림 관련 기술을 배울 수 있는 산촌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지난달 21일 일본 중부 오카야마현 마니와시(市)에서 만난 나카야마 나오키 씨(35)에게 산촌 생활을 묻자 이런 답이 돌아왔다. 나카야마 씨는 돗토리현 소재 대학의 전기전자공업과를 졸업한 뒤 2014년 마니와시 목재 및 발전 기업인 메이켄(銘建)공업에 입사해 이곳에 정착했다. 일본 또한 젊은 사람들은 대개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떠나가지만, 역으로 산촌으로 들어와 12년째 살고 있는 것이다. 그는 현재 회사의 바이오매스 발전소 관리 및 기계 운용 전반을 책임지고 있다. 나카야마 씨는 “바이오매스 발전의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며 이곳을 택한 이유를 말했다.● 인구소멸지역에 日 최대 폐목재 발전소나카야마 씨가 정착한 마니와시는 2005년 3월 인구가 줄어든 9개 마을을 합해 새로 탄생한 시다. 관할 내 산림 면적이 80%에 달해 임업과 목재 생산이 지역 경제 생산의 약 30%를 차지했다. 하지만 저출산 고령화가 지속되며 주택 경기가 침체됐고 목재 수요도 줄었다. 다른 산촌처럼 젊은이들이 지역을 떠났고 고령화가 심해졌다. ‘3K’(위험하고 고되고 불결한 일·3D의 일본식 표현)로 인식되는 임업과 목재 산업의 종사자는 갈수록 줄었다.이런 지역 분위기를 반전시킨 것이 목재 가공 과정에서 버려지는 가지, 톱밥 등 폐목재를 연료로 전기를 생산하는 바이오매스 발전소다. 폐기물 감량은 물론 나무가 흡수한 탄소를 발전 과정에서 다시 배출
tvN '백억짜리 아침식사' EBS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