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에 있는 사강감리교회에서 이주민 선교의 길로 이끄심을 따라 이주노동자 사역을 시작했습니다. 중간에 만 9년의 해외 선교 사역이 있었습니다. 피치 못할 사정으로 선교지를 떠나오면서 다른 지역으로 사역지를 옮길지, 국내 이주민 사역으로 돌아설지 기도하다 국내 이주민 사역의 중요성을 보게 됐습니다. 그리고 올해로 25년째 해외와 국내 이주민 사역의 길을 걸어가고 있습니다.“사람이 마음으로 자기의 길을 계획할지라도 그의 걸음을 인도하시는 이는 여호와시니라.” 우리의 계획은 늘 사람의 마음에서 시작하지만 그 걸음을 인도하시는 분은 하나님이십니다. 2020년 지역을 옮겨 평택에서 새로운 이주민 사역을 꿈꾸며 나아갈 때 코로나가 시작됐습니다. 코로나 시기는 모두가 방역을 해야 하는 국가적 위기 상황이라 받아들이고 이해는 했지만, 주님께서 이 상황을 어떻게 인도하실지에 대한 기대와 이주민을 만날 수 없다는 좌절의 나날을 오가며 이주민 사역으로의 부르심을 의심하기도 했습니다.그런데 놀랍게도 하나님은 이미 다른 길을 준비하고 계셨습니다. 사람의 계획은 멈춘 것 같았지만 하나님의 인도는 멈추지 않았습니다. 특히 팬데믹 정점에서 하나님은 아프리카에서 온 귀한 아이들을 만나게 하셨습니다. 어떤 전략이나 예측이 아닌 오직 순종하는 마음으로 송탄으로 향했던 그 걸음이 하나님의 완전한 계획이었음을 나중에야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난민 초·중등 아이들이 이 시기 어려움을 겪는 것을 알게 됐고 이때부터 난민과 다문화 청소년 사역을 시작했습니다. 돌이켜보면 송탄으로 가지 않았다면 지금처럼 이주민 청소년 사역이 시작되지 못했을 것입니다. 주일에는 이주민 노동자(베트남 캄보디아 네팔 중국 중앙아시아 등) 대상 예배와 한국어를 위주로 모이며 주중에는 아프리카(나이지리아 케냐 카메룬 가나 기니 부룬디 앙골라 등) 출신 아이들과 가정을 만나고 있습니다.하나님은 사람을 통해 길을 넓히시고 만남을 통해 마음을 여십니다. 하나님께서 이 일을 계기로 사역의 지경을 넓혀 주셨습니다. 가끔 아프리카 선교사님들을 만나면 이런 말을 듣습니다.“김 선교사님, 아프리카로 오세 국방부는 11일 한미일 3국이 제주도 남방 공해상에서 공중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훈련에는 미국 B-52H 전략폭격기와 우리 공군의 KF-16 전투기, 일본 F-2 전투기 등이 참여했다./국방부 이재명 정부가 출범 한 달여 만에 미국과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 협의에 착수했다. 대선 공약을 이행하는 차원이라고 하지만 주한 미군의 규모와 구성, 역할을 변경하려는 미국의 ‘전략적 유연성’ 논의와 겹쳐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미국에서는 “한국군에 전작권을 이양하고 미군은 철수해야 한다” “한국은 대만 유사시 기지를 제공하지 않을 테니 미군 1만명을 감축하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우리 측에서는 전작권 환수 후 핵 잠재력 확보를 위해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을 추진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한 외교·안보 원로들의 제언을 들었다.◊신각수 전 외교부 1차관신각수 전 외교부 차관은 “우리가 우리 군대의 작전통제권을 갖겠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중요한 것은 지금 변화한 안보 환경 속에서 얼마만큼 우리가 우리 힘으로 대북 억지를 할 수 있느냐”라고 말했다. 신 전 차관은 “전작권을 가져올 환경인지 보자면 우리의 능력, 특히 정찰·감시 능력은 한참 모자라다”면서 “그런 준비가 안 된 상태에서 감정적·정치적·이념적 이유로 전작권 전환을 하면 대북 억지와 방어 능력이 떨어진다”고 했다. 그는 “안보에는 연습이 없다”면서 “우리가 전작권은 찾아왔지만 실질적으로 북한이 한반도에서 사달을 일으키지 못하도록 억지하거나 사달을 냈을 때 방어하는 데 문제가 있다면 곤란하지 않나”라고 했다. “(전작권 전환을 잘못해서) 한번 국방력이 약화되면 그것으로 그냥 끝”이란 얘기다.신 전 차관은 전작권 전환 후 주한 미군 감축 가능성이나 주한 미군 재조정 문제에 대해 “우리가 대만 문제에 어떤 입장을 정하느냐에 따라 미국의 결정도 달라질 것”이라고 했다. 그는 “한국은 중국과 가깝기 때문에 주한 미군이 중국에 큰 위협도 되지만, 동시에 중국의 공격에 취약한 측면도 있다”고 했다. 미국으로서는 중국이 주한 미군 기지를 공격할 위험성을 무릅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