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신도시부동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둔 2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 도로가 경찰 차벽으로 통제되고 있다. 사진=장유하 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둔 2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 인도를 경찰이 통제하고 있다. 사진=장유하 기자 [파이낸셜뉴스] "선생님, 어디로 가십니까"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이틀 앞둔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주변은 팽팽한 긴장감으로 뒤덮였다. 경찰은 선고 당일 헌재 일대를 '진공상태'로 만들겠다고 예고한 만큼 이날도 헌재 앞 도로변을 비롯해 안국역 주변 곳곳에 질서유지선과 경찰 차벽을 세웠다. 경찰은 골목을 지나가는 시민들에게 일일이 목적지를 묻고 통행을 제한했다. 좁은 골목까지 삼엄한 경비가 이어지면서 이동이 쉽지 않았다. 곳곳에선 경찰의 통제에 불만을 터뜨리는 시민들도 있었다. 일부는 "왜 지나가지 못하게 하느냐", "길을 막는 이유가 뭐냐"며 항의했고, 경찰은 이들을 타이르며 상황을 정리했다. 하지만 선고일이 가까워질수록 경비가 한층 강화되면서 상인들의 한숨은 더욱 깊어졌다. 계속되는 집회와 통행 제한으로 손님들의 발길이 끊긴 데다 주변 관광지까지 문을 닫으면서 매출 타격이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실제 탄핵 선고 당일인 오는 4일 서울 종로구, 중구 등에 있는 경복궁, 창덕궁, 덕수궁의 관람이 중지된다. 경복궁 서쪽에 있는 국립고궁박물관도 하루 문을 닫으며, 광화문에 있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도 휴관한다. 국립민속박물관과 청와대도 휴관하기로 했다. 이 때문에 상인들은 매출 타격이 크다고 호소한다. 이미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이 진행되는 동안 헌재 앞에서 연일 집회가 열리며 매출이 급감했는데, 선고를 앞두고 통행 제한과 관광지 휴관까지 겹치면서 상황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는 게 상인들의 공통된 목소리다. 헌재 근처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이모씨(30)는 "이곳은 원래 외국인 손님이 많은 지역인데, 탄핵 정국 이후 외국인 손님이 급격히 줄었다"며 "매출도 이전 대비 30%가량은 감소했다"고 토로했다. 악세사리 가게를 운영하는 송모씨(49)도 "며칠 전부터 손님이 계속 없다. 안국역 자체를 통제하면서 손님이 더 줄었다"며 "전년 봄 대비해서도 장사가 안 돼서 너무 힘들다"고 했다. 그러나 선고 당일엔 이런 비정상적 장사마저도 할 수 없다. [마감과 육아 사이] 기자 워킹맘 인터뷰 시리즈 ② 김지경 MBC 기자 정치부 여당 반장에서 전국언론노동조합 성평등위원장으로 "임신과 출산 이후에도 당사자가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 늘어나야"[미디어오늘 정민경 기자] ▲김지경 전국언론노동조합 성평등위원장이 3월25일 미디어오늘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전국언론노동조합. 여성 기자 비율이 전반적으로 늘고 있지만 여성 데스크나 간부급은 여전히 소수다. 지난해 한국여성기자협회 조사에서 전체 임원 중 여성 비중은 6.17%에 그쳤다. 여성 언론인이 자녀가 있는 경우도 남성에 비해 적다. 2023년 한국언론진흥재단 조사에서 자녀가 없다고 답한 언론인은 남성이 50.9%, 여성은 75.1%로 나타났다. 여성 언론인이 아이를 키우며 '커리어'를 이어가기 쉽지 않은 현실이 반영된 통계들이다.기자들의 경우 긴급한 상황이나 마감의 압박으로 일과 육아의 균형은 쉽게 무너진다. 미디어오늘은 '기자 워킹맘'이 겪는 현실의 무게와 함께 이들의 개인적인, 동시에 우리 사회 전반에 공유해야 할 고민을 전한다. <편집자주>김지경 MBC 기자는 올해 21년 차 기자이자, 초등학생 자녀를 둔 워킹맘이다. MBC에서 사회부와 경제부를 거쳐 시사 프로그램 '시사매거진 2580', '후플러스' 등을 제작했으며 성소수자와 이주여성, 철거민을 다룬 프로로 국제앰네스티 언론상을 받았다. 정치부 기자로 취재를 하다가 2020년 토요일 아침 '뉴스 투데이'의 앵커를 맡게 되면서 '앵커룸에 77 사이즈의 옷이 없었다'는 고민을 시작으로 책 '내 자리는 내가 정할게요'를 출간, '여성 앵커'에 대한 고정관념을 변화시키려는 시도를 전했다.젠더 이슈에 다양한 방면으로 목소리를 내놓은 김지경 기자가 올해 3월19일 전국언론노동조합 성평등위원장 자리에 섰다. 미디어오늘은 지난달 25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언론노조 사무실에서 성평등위원장이자 21년 차 워킹맘인 그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취임 직전 정치부 여당(국민의힘) 반장을 맡고 있었는데 성평등위원장에 취임하게 된 계기는.“계엄 사태 이후 MBC 정치부에서도 굉장히 많은 역할을 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이었다. 지금 성평등위원장 자리로 옮기는 것이 무책임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처음엔 고사했다. 그러나 정치부 기자의 일만큼 언론노조 역시 중요한 시점이었고, 정치부
다산신도시부동산